본문 바로가기
세상 쉬운 체류 가이드

2025년 E-7 임금요건 기준 금액 변경! GNI 80% 아니다!

by ☈℃⚀♦︎✒︎♰ 2025. 3. 20.

최근, 2024년도 GNI(1인당 국민총소득)가 발표되면서 출입국 사무소에 폭풍이 들이닥쳤다. E-7-1의 임금요건은 전년도 GNI 80% 이상이어야 하는데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GNI 금액이 무려 4,995만 5,000원이었기 때문이다. 해당 GNI의 80%는 무려 3,996만 8,500원인데 이 정도 연봉을 주고 외국인을 고용하는 일은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이다. 그러던 오늘! 다행히! E-7의 사증발급 및 체류자격변경에 적용되는 새로운 임금 요건 기준이 발표되었다.

 

E-7-1, E-7-2, E-7-3 임금요건

오늘(25.03.20) 법무부에서 새롭게 발표한 E-7의 임금요건 기준은 다음과 같다. E-7-1은 연 2,867만 원 이상, E-7-2, E-7-3는 연 2,515만 원 이상, E-7-4는 기존 지침과 동일하게 연 2,600만 원 이상이다. E-7-1 임금요건은 이전 기준이었던 GNI 80% 보다 대폭 완화되었고 E-7-2, E-7-3은 2024년도 최저시급 기준에서 2025년도 최저시급 기준으로 변경되었다. 해당 임금요건 기준은 사증발급 및 체류자격변경, 체류기간연장에 적용된다. 

 

 

 

2025년 E-7-1 임금요건 적용은 언제부터?

GNI 금액 적용과 마찬가지로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E-7 임금요건 기준도 2025년 04월 01일부터 적용된다. 올해 3월 말까지는 원래 기준이었던 GNI 80%가 임금요건 기준이다. 이번에 발표된 2024년도 GNI 금액으로 인해 D-2, D-10 외국인들이 E-7-1 신청을 3월까지 해야 되는 건 아닌지, 앞으로 E-7을 못 받게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많았을 것 같다. 다행히, 새롭게 발표된 E-7 임금요건 기준은 GNI 80% 이상이었던 이전 기준보다 훨씬 더 현실성 있고 납득이 되는 기준이라고 생각된다.

 

E-7 직종별 임금요건 기준 차이

앞서 안내한 임금요건 기준은 '일반적인'기준이다. E-7-1에 해당되는 직종만 하더라도 대략 67개인데 이 직종들이 모두 연 2,867만 원 이상이면 되는 것은 아니다. 대부분의 E-7-1 직종이 연 2,867만 원 이상(E-7-2, E-7-3은 연 2,515만 원 이상)이면 되겠지만 특정 직종들에 한해서는 '별도의' 임금요건 기준이 적용된다. 그 특정 직종들은 GNI 80% 혹은 70% 이상일 수도 있다. 자신이 희망하는 E-7 직종이 혹시 별도의 임금요건 기준이 적용되어 있는지 궁금하다면 1345에 문의해 보면 된다.

 


이번에 발표된 GNI 금액을 보면서 "아 이제 E-7 비자받기 힘들어졌구나"라고 생각했었지만, 다행히 법무부가 새롭게 발표한 E-7 임금요건 기준 덕분에 D-2, D-10 외국인들의 E-7 사랑(?)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. 이상, '2025년 E-7 임금요건 기준 금액 변경! GNI 80% 아니다!'에 대한 글을 마친다.

댓글